정진해의 길문화박물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정진해의 길문화박물관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241)
    • 저서 소개방 (46)
      • 토종식물 도서 (9)
      • 문화재 도서 (21)
      • 길문화 도서 (8)
      • 문학도서 (3)
      • 관광농업도서 (4)
    • 알리미마당 (16)
      • 답사·탐방 안내방 (5)
      • 답사 인물방 (4)
      • 각종 모임자료방 (3)
      • 에듀 씨 코리아 (1)
      • 바츨라프 하우스 (3)
    • 자연생태관 (240)
      • 초본식물방 (144)
      • 목본식물방 (72)
      • 버섯방 (8)
      • 곤충방 (9)
      • 동물방 (7)
    • 국가문화유산관 (120)
      • 국보 문화재 (20)
      • 보물 문화재 (16)
      • 사적 문화재 (38)
      • 명승 문화재 (6)
      • 천연 기념물 (14)
      • 국가민속문화재 (9)
      • 국가무형문화재 (4)
      • 세계문화유산 (2)
      • 등록문화재 (11)
    • 지방문화유산관 (89)
      • 유형문화재 (26)
      • 무형문화재 (26)
      • 민속자료 (5)
      • 기 념 물 (23)
      • 문화재자료 (9)
    • 생활문화해설관 (88)
      • 전통음식자료 (27)
      • 전통복식자료 (1)
      • 전통주거자료 (1)
      • 전통문양자료 (19)
      • 전통놀이자료 (11)
      • 생활도구자료 (6)
      • 의식문화자료 (23)
    • 문화재해설관 (146)
      • 문화재사진자료 (10)
      • 문화재해설자료 (7)
      • 문화유산칼럼 (9)
      • 문화유산답사기 (120)
    • 토종식물해설관 (193)
      • 밭작물자료 (9)
      • 토종식물칼럼 (5)
      • 토종식물정보 (26)
      • 토종식물해설사자료 (28)
      • 토종식물자료 (125)
    • 마을문화해설관 (28)
      • 마을안길자료 (7)
      • 마을향토자료 (7)
      • 어촌해설자료 (2)
      • 산촌해설자료 (0)
      • 문학방 (12)
    • 잡지와 신문관 (158)
      • 길문화 소식지 (114)
      • 선으로가는 길방 (0)
      • 엔지오신문기사방 (44)
    • 자연생태사진관 (86)
      • 설치물사진방 (6)
      • 풍경사진방 (68)
      • 생물사진방 (4)
      • 자연현상사진방 (8)

검색 레이어

정진해의 길문화박물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자연생태관

  • 농장에 자라는 풀(草)

    2022.04.09 by 국보와 보물

  • 봄볕에 피어난 '마가목'의 잎

    2022.04.09 by 국보와 보물

  • 곰솔(해송) 수꽃

    2022.04.08 by 국보와 보물

  • 농장에 별을 수놓은 '큰개불알풀'

    2022.04.08 by 국보와 보물

  • 농장의 자두나무가 꽃 피울 준비하고 있어요.

    2022.04.08 by 국보와 보물

  • 농장의 매화꽃

    2022.04.08 by 국보와 보물

  • 개나리 꽃

    2022.04.08 by 국보와 보물

  • 갯버들(꽃말:친절, 자유, 포근한 사랑)

    2022.02.12 by 국보와 보물

농장에 자라는 풀(草)

자연생태관/ 초본식물방 2022. 4. 9. 21:11

봄볕에 피어난 '마가목'의 잎

학명 : Sorbus commixta, Japanese rowan 분류 : 장미과의 갈잎큰키나무 마가목은 나무 중 으뜸으로 취급받는 유용한 나무이다. 마가목이란 이름은 봄에 돋아나는 새순이 말의 이빨 같다 하여 ‘마아목(馬牙木)'이라 불린 것에서 유래되었다. 마가목의 잎은 9~13장이 깃털모양으로 달리는 깃꼴겹잎형태이다. 가을이 되면 열매는 연한 주황색에서 새빨간 붉은색으로 익어 가는데, 이 시기에 잎 또한 붉은색으로 단풍이 들어 나무 전체가 빨간 빛깔로 물들며 가을 산의 아름다움을 선사한다. 에로부터 민간에서는 줄기, 껍질, 열매, 잎 모두 약재로 사용되어 왔으며 달여서 마시거나 술을 담가 마시기도 한다. 마가목의 효능은 만성 기관지염, 비염, 관절염, 중풍, 부종 등에 효능이 뛰어나며, 어혈을 없애고..

자연생태관/ 목본식물방 2022. 4. 9. 21:06

곰솔(해송) 수꽃

자연생태관/ 목본식물방 2022. 4. 8. 19:32

농장에 별을 수놓은 '큰개불알풀'

자연생태관/ 초본식물방 2022. 4. 8. 19:15

농장의 자두나무가 꽃 피울 준비하고 있어요.

자연생태관/ 목본식물방 2022. 4. 8. 19:14

농장의 매화꽃

농장 매화나무는 꽃을 피웠다.

자연생태관/ 목본식물방 2022. 4. 8. 19:12

개나리 꽃

한국 특산식물이다. 황춘단, 황화수, 황금조, 신이화, 영춘화, 어리자, 어아리, 어사리 등으로 부르는 개나리꽃, 줄기에서 가지가 길게 뻗어 사방으로 퍼진다. 가지 끝이 밑으로 처지는데 작은 가지는 녹색이지만 점차 회갈색으로 변하고 껍질눈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잎겨드랑이에서 노란색으로 1~3개씩 달리며, 꽃잎은 통꽃으로 중간부터 4개로 갈라진다. 꽃받침은 녹색으로 4개로 갈라지며, 수술은 2개, 암술보다 긴 것과 짧은 것이 있으며 암술대도 긴 것과 짧은 것이 따로이다. 열매 말린 것을 연교, 연교는 연꽃의 열매인 연밥에서 유래된 것으로 개나리의 열매가 연밥처럼 생겼기 때문이다.

자연생태관/ 목본식물방 2022. 4. 8. 19:08

갯버들(꽃말:친절, 자유, 포근한 사랑)

한탄강 지질공원을 찾아 걸었습니다. 벌써 갯버들이 꽃눈을 싸고 있는 옷을 벗어 던지고 하얀 솜털로 예쁜 강아지를 만들어 냈습니다. 우리는 이것을 ‘버들강아지’라고 부르지요. 늦어도 3월이면 솜털 속에서 수술대가 나와 마치 성게의 촉수처럼 노란 꽃가루를 쓰는 것으로 꽃을 피웁니다. 가지에 잎이 나오기 전에 꽃이 먼저 피운답니다. 잎이 나오면서 열매도 성숙하여 간답니다. 4월 중순경 되면 솜털 안에서 열매가 성숙하면서 솜털이 열매를 하나씩 달고 멀리 날아갑니다. 왜 갯버들은 열매를 멀리 보내려고 할까요? 멀리 가서 새로운 땅에서 살라고 보내는 것으로 생각하지만, 실은 어미 갯버들 곁에 떨어지면 어미가 먹을 양분이 없어지기 때문이고, 씨앗이 발아할 수 있는 양분이 부족하여 멀리 보낸답니다. 갯버들 씨앗이 여물..

자연생태관/ 목본식물방 2022. 2. 12. 20:54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5 6 ··· 30
다음
TISTORY
정진해의 길문화박물관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