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이야기
2016.06.20 by 국보와 보물
원추리의 멋
2016.06.16 by 국보와 보물
꽃의 변신
2016.06.15 by 국보와 보물
문양의 원조
통인시장 천정 걸개
2015.03.19 by 국보와 보물
돌하르방
2010.07.14 by 국보와 보물
하원동탐라왕자묘
탐라순력도
생활문화해설관/ 전통문양자료 2016. 6. 20. 21:48
생활문화해설관/ 전통문양자료 2016. 6. 16. 22:47
생활문화해설관/ 전통문양자료 2016. 6. 15. 08:58
생활문화해설관/ 전통문양자료 2016. 6. 15. 08:57
생활문화해설관/ 전통문양자료 2015. 3. 19. 08:40
돌하르방 제주도민속자료 제2-43호(1971.08.26) 소재지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안성리 추사관입구 : 동.서 제주도에 있는 장승의 일종으로, ‘우석목(偶石木)’, ‘무석목’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제주도 사투리로는 ‘돌할아버지’란 뜻인데, 어린아이들이 부르던 이름이 일반적으로 쓰이게 된 것이다. 이..
생활문화해설관/ 전통문양자료 2010. 7. 14. 08:28
하원동탐라왕자묘(河源洞耽羅王子墓) 제주도기념물 제54호 (2000.06.21) 수량 분묘3기 소재지 제주 서귀포시 하원동 21 이원조의 『탐라지초본』, 『대정군읍지』와 김약익의 『심재집』과 같은 문헌기록과 구전으로 전해지는 이야기를 통해 왕자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곳이다. 하원동 탐라왕자 무덤은 ..
생활문화해설관/ 전통문양자료 2010. 7. 14. 07:58
탐라순력도(耽羅巡歷圖) 보물 제652-6호(1979.02.08) 소재지 제주 제주시 시 대 조선시대 탐라순역도는 병와 이형상 선생께서 제주목사로 재임 당시인 숙종 28년에서 29(1702~1703)에 제주도 관내를 순력하면서 자연, 역사, 산물, 풍속등을 자세히 기록한 탐라지로 화공 김남길로 하여금 40폭의 채색그림으로 그..
생활문화해설관/ 전통문양자료 2010. 7. 14. 07: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