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석원
2010.07.14 by 국보와 보물
제주 천지연 난대림
조천리 황씨 종손 가옥
혼인지(婚姻池)
차귀도 천연보호구역
추사유배지
화북비석거리
화북진지(禾北鎭址)
목석원(木石苑) 제주도기념물 제25호 (1974.04.03) 수량 20점 소재지 제주 제주시 아라동 1795-1 예술적인 모습을 하고 있는 나무뿌리 1,000여 점, 사람의 머리모양을 한 돌 500여 점, 100여 점의 수석(水石)이 전시되어 있다. 나무뿌리는 한라산 해발 700m 이하에서만 자생하는 조록나무의 것으로, 죽은 뒤 오랜 세..
생활문화해설관/ 전통문양자료 2010. 7. 14. 07:44
제주 천지연 난대림(濟州 天池淵 暖帶林) 천연기념물 제379호(1993.08.19) 면적 88,114㎡(지정구역), 46,179㎡(보호구역) 소재지 제주 서귀포시 서귀동 973 천지연 난대림은제주도 서귀포시 서귀동 천지연폭포 계곡에 위치하고 있다. 이곳은 따뜻하고 습기가 많아, 온난한 기후대에서 자생하는 식물들이 빽빽히..
생활문화해설관/ 전통문양자료 2010. 7. 14. 07:37
조천리 황씨 종손 가옥 제주도민속자료 제4-5호 (1978.11.14) 수량 2동 소재지 제주 제주시 조천읍 조천리 2373 제주도 기와집의 특징은 바람세기 때문에 기와가 특히 크며 처마끝과 용마루 주변에는 회땜질을 해서 특이한 경관을 형성했다. 지분의 물매는 초가집처럼 뜨며 안허리를 두거나 추녀를 치켜들..
생활문화해설관/ 전통문양자료 2010. 7. 14. 07:33
혼인지(婚姻池) 제주도기념물 제17호 (1971.08.26) 소재지 제주 서귀포시 성산읍 온평리 1693 혼인지는 삼성혈에서 태어난 탐라의 시조 고(高)·양(良)·부(夫) 3신인이 동쪽 바닷가에 떠밀려온 함 속에서 나온 벽랑국(碧浪國) 세 공주를 맞이하여 각각 배필을 삼아 이들과 혼례를 올렸다는 곳이다. 3신인은 ..
생활문화해설관/ 전통문양자료 2010. 7. 14. 07:28
차귀도 천연보호구역(遮歸島 天然保護區域) 천연기념물 제422호(2000.07.18) 면적 5,655,927㎡(지정구역) 소재지 제주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 산34번지 등 차귀도는 제주도에서 쿠로시오 난류의 영향을 가장 먼저 받는 지역으로, 서식하고 있는 동식물이 매우 다양하며 아열대성이 가장 강한 지역으로 5∼10m ..
생활문화해설관/ 전통문양자료 2010. 7. 14. 07:17
추사유배지(秋史流配址) 사적 제487호(2007.10.10) 소재지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안성리 1666-1번지 일원 서귀포시 대정읍성 동문자리 안쪽에 자리잡은 추사유배지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서화가였던 추사 김정희(1786∼1856)가 유배생활을 하던 곳이다. 김정희는 이 곳에 머물면서 추사체를 완성하고, <완..
생활문화해설관/ 전통문양자료 2010. 7. 14. 07:11
화북비석거리(禾北碑石거리) 제주도기념물 제30호 (1976.09.09) 수량 13기 소재지 제주 제주시 화북동 5749 이 비석거리는 화북 포구 근처에 자리잡고 있다. 화북지방은 옛부터 제주와 육지를 잇는 첫 관문으로 많은 관리들이 이곳을 거쳐갔었는데, 이러한 제주목사나 판관 등 지방관리들의 부임 또는 이임..
생활문화해설관/ 전통문양자료 2010. 7. 14. 07:07
화북진지(禾北鎭址) 제주도기념물제56호 (2001.02.21) 소재지 제주 제주시 화북1동 5761번지 등 시 대 조선시대 조선시대 제주도의 방어유적으로 숙종 4년(1678) 지방관인 최관에 의해 축성되었다. 성안에는 관리들이 사는 건물과 제주를 오는 사신들을 묵게 하기 위한 객사를 비롯하여 창고, 마방 등 여러 건..
생활문화해설관/ 전통문양자료 2010. 7. 14. 0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