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진해의 문화유산 답사 기행>
석등은 사찰, 왕릉, 묘에 설치된 석물로, 사찰에서는 석등이라 부르고,
왕릉이나 묘에 설치된 석등을 장명등이라 부릅니다.
사찰의 석등은 불법을 온 누리에 밝히는 도구, 장명등은 망자의 영혼을 위로하고
후손들의 장생발복을 기원하는 도구의 기능을 가집니다.
장명등은 능묘 앞에 세워 사악한 기운을 물리친다는 벽사의 기능을 갖는다고 합니다.
처음 장명등이 능묘 앞에 세웠을 때는 관이 안치된 후
소상까지 매일 아침, 점심, 저녁 제사 때마다
등불을 켜는 상징적인 연등구이기도 하였지요.
장명등의 시작은 고려 때 태조 현릉과 일부 대신의 묘에 장명등을 세웠으며,
조선 시대에는 <국조오례의>에 왕릉에 장명등이 건립이 명시되면서 왕릉마다
장명등을 건립하게 되었습니다.
고려말 일부 부도(승탑) 앞에도 장명등이 세워졌습니다.
특히 조선 시대는 일품 이상 제상의 묘역에만 장명등을
세울 수 있도록 제도화되기도 하였습니다.
월산대군 묘 앞의 장명등은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받침대와 화창 부분, 지붕 부분으로 이루어졌습니다.
받침대 부분은 각 면에 두 개의 방을 구획하고 각 구획에 십자화를 조각하였고
그 위에 복련(연꽃이 아래로 핀 모양)을 둘렀습니다.
오목하게 들어간 네 모시리에는 죽절문을 새기고 면에는 베개 모양의 안상을 새겼습니다.
상부에는 앙련(위로 핀 연꽃 모양)이 위 화창석을 받치고 있는 모양입니다.
앙련 위에는 각 면에 두 개의 방을 구획하고 각 구획에 십자화를 새겼습니다.
화창은 각 면에 하나씩 내고 지붕돌은 사모 지붕이고 물매는 급하고
네모서리에는 우동을 도드라지게 새겼습니다.
모임 부분은 연잎을 엎어 놓은 모양으로 장식하고 그 위로 염주 문을 새긴 뒤 소담스러운
연꽃봉오리를 닮은 보주를 장식했습니다.
월산대군 묘역에는 신도비와 문인석, 망주석, 장명등, 묘표, 상석 등이 갖추어져 있으며,
봉분은 왕릉만큼이나 큽니다. 그래서일까요, 이곳의 자연지명이 등골이랍니다.
정진해의 길문화박물관
노고산독재동추사필적암각문 (0) | 2022.07.22 |
---|---|
조선후기 우의정 미수 허목의 발자취 (0) | 2022.07.22 |
천림산 봉수지(경기도기념물 제179호) (0) | 2017.11.17 |
최영장군묘(경기도기념물 제23호)-2017.10.03 (0) | 2017.10.03 |
[스크랩] 박신묘역 (0) | 2017.02.02 |